'여성의 경험 통해 제주 4.3 보여주고 싶었다' 돌들이말할때까지 김경만 하성태 기자
지난해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대상은 4.3 문제를 다룬 양영희 감독의 였고, 곧 개봉을 앞두고 있다. 올해 14회 영화제에서 또 한 편의 완성도 높은 4.3 다큐가 등장했고, 9월 30일 폐막식에서 특별상인 '용감한 기러기' 상을 수상했다. 한국경쟁부문에 출품됐던 김경만 감독의 가 그 주인공이다.
그 녹록지 않았을 시간과의 싸움은 제주4.3 수형인을 다룬 첫 번째 장편영화라는 결실로 이어졌다. 4.3 수형인들은 제주4.3 발생 후 불법적인 군사 재판, 일반 재판을 받고 전국의 형무소에 수감됐던 이들이다. 2018년 70주년 이후 4.3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늘고 4.3 특별법 개정 운동 등 명예회복 등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 직권재심 등을 통해 이들에 4.3 수형인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회복도 이뤄지고 있다. 는 그 피해자들 중 양농옥·박순석·박춘옥·김묘생·송순희 5인의 할머니 이야기를 중심에 놓고 김경만 감독이 구성한 영상 서사를 결합시킨 형식을 취한다. 촬영은 2019년까지 이어졌고, 제주4.3 도민연대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그 사이 직권재심 재판 등 긍정적인 소식이 들어왔고, 그 모습 또한 영화에 담겼다.
"저는 나 자신을 위해 영화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나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어차피 이게 다 연결돼 있는 거라고 생각하고. 역사라든지 실제 세계를 사람들이 알아가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나도 같이 연결돼서 살아가는 세상이니까.""저도 잘 몰랐는데 2016년 4.3 도민연대 양동윤 대표 먼저 뵙고 사실을 알게 됐다. 처음부터 4.3 중에서도 수형인 얘기로 끌고 가야겠다고 생각했다. 4.3 영화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 건 책 를 읽었을 때라고 할 수 있지만 이후 여러 가지 생각이 있었다.""단지 미국책임론 때문만이 아니라, 남한의 시작과 맞닿아 있다. 이걸 모르고 있다는 것, 그 상태 자체가 남한의 정체성인 거다. 어떻게 이걸 감춰왔을 수가 있나. 엄청 억압적이었다는 얘기잖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학살이 많이 있었고, 그리스 같은 경우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 억압적이어서 사람들이 이 나라에서 살 수 없었던 거 같다.
박순석 할머니 같은 경우 산에도 올라간 분이라 꼭 담고 싶다고 생각했다. 남로당 이야기를 누가 해주겠나. 반역자, 죄인 취급을 하는데. 그게 전혀 죄될 게 없고 죄될 일이 아니잖나. 남로당에 가입했던 사람들 중 다수는 그 불의에 저항하고 싶었던 사람들인데 불행하게도 그 과정에 억울한 사람이 많이 죽은 것도 사실이다. 분단을 반대한 건 전쟁을 반대하는 거기 때문에 그 입장이 옳았다고 생각한다. 사실 분단이 되면 안 되는 거였다. 분단 때문에 전쟁이 난 거고. 그런 활동 얘기를 해주셔서 좋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미 보란듯 동해에 SRBM 쏴놓고…일절 언급 안하는 북, 왜대신 추수철을 앞두고 농업생산성 확보를 위해 내부 기강을 잡는 내용을 집중 보도했습니다.북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도 대법원, 미혼여성 임신중단권도 인정인도 대법원은 29일(현지시간) 임싱중단을 희망하는 20대 미혼 여성의 청원을 심사하면서 “미혼 여성도 기혼 여성과 마찬가지로 임신 24주차까지 낙태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군 UDT·SEAL, 조난자 탐색구조훈련에 해상드론 첫 활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해군은 특수전전단(UDT/SEAL) 해난구조전대가 29일 제주 남방 해상에서 해상 드론을 활용한 조난자 탐색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해외에서 국내로 몰래…현실판 '수리남' 3배로국내에 유통되는 마약의 상당량은 해외로 도피한 한국인 마약사범들을 통해 몰래 들어옵니다. 드라마 '수리남'에 나오는 인물의 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보] 러, 우크라 점령지 합병조약 30일 체결…푸틴 참석 | 연합뉴스(이스탄불=연합뉴스) 조성흠 특파원=러시아가 주민투표를 통해 영토의 러시아 편입을 결정한 우크라이나 4개 점령지와 영토합병을 위한 조약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