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받아서 머리 다 빠진다'던 푸념, 사실이었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스트레스 받아서 머리 다 빠진다'던 푸념, 사실이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6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4%
  • Publisher: 53%

이번 연구를 통해, 1000만 탈모인들의 치료를 도울 수있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한 정보기술 기업에서 일하는 A 씨는 매년 연말이면 머리가 평소보다 많이 빠진다. A 씨는 “인사평가 기간인 연말이면 직장 상사나 동료들에게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까 봐 우울한 경우가 많다”면서 “그런데 탈모의 원인이 인사 평가 때문인지 계절적 요인인지는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다른 요인을 배제한다면, A 씨의 탈모는 계절적 요인보다는 인사평가에 대한 압박과 스트레스가 원인일 확률이 높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진이 만성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이 탈모의 원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지난달 31일 하버드대 줄기세포 및 재생생물학과 연구진의 모낭 줄기세포 연구를 소개했다. 모낭은 피부에서 머리카락이나 털이 자라나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다. 모낭은 '성장기→퇴행기→휴식기→성장기'를 반복하며 머리카락을 생성한다. 이를 조절하는 것이 모낭의 줄기세포다. 줄기세포가 활성화하는 성장기에는 머리카락이 매일 길어진다.

수야츠에 하버드대 줄기세포연구소 줄기세포·재생생물학 교수는 “스트레스가 줄기세포 활성화를 지연시키고, 모낭의 줄기세포가 조직을 재생하는 빈도를 근본적으로 바꾼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스트레스 호르몬이 모낭 줄기세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연구진은 거꾸로 생쥐의 스트레스 호르몬을 차단했다. 그랬더니 모낭의 줄기세포가 휴식기를 갖는 시간이 극적으로 짧아졌다. 즉, 스트레스 호르몬을 차단했더니 생쥐의 모낭에서 계속 털이 났다는 뜻이다. 통상 노화할수록 휴식기가 길어지는데, 스트레스 호르몬을 차단한 생쥐는 나이가 들어도 모낭이 성장기를 유지했다. 수야츠에 교수는 “스트레스는 본질적으로 모낭 줄기세포가 성장기에 진입하는 행위를 가로막는다”며 “하지만 스트레스 호르몬을 제거한 생쥐는 노화해도 성장기가 계속 되풀이됐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나아가 발모 과정도 규정했다. 모낭 뿌리 부분에 있는 특정 세포의 특정 단백질이 모낭의 줄기세포 활성화를 조절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Render Time: 2025-04-08 05:3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