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1일부터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을 시작하는데, 전국 의대생들이 이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정부가 의대정원 확대 정책을 즉각 중단하고 코로나19 종식 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 26일 오후 '의과대학생 동맹휴학 및 의사국가고시 거부에 대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입장'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날 오전 신찬수 학장을 비롯한 보직교수·주임교수 47명이 긴급 회의를 열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서울대 의대 교수는 550명이다.
서울대 의대 주임교수·보직교수 긴급회의 후 성명 발표 서울대 교수들이 이렇게 나선 직접적인 이유는 서울대 의대 본과 4학년을 비롯한 전국 의대생이 다음달 1일부터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을 시작하는데, 이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기를 통과하고 내년 1월 필기시험에 합격해야 의사 면허증을 받는다. 실기에 응시하지 않으면 의사국가시험 재수생이 돼 1년을 허송세월해야 한다. 서울대 의대 교수들은"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의대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정책은 20~30년 뒤를 내다보는 장기적인 보건의료발전계획 차원에서 신중하고 면밀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며"지역 간 의료격차, 필수 비인기 전공과목 인력부족 등 정부의 문제의식에 충분히 공감하지만, 정부의 비현실적인 대책으로는 문제가 해결될 수 없을 뿐더러 장차 더 많은 문제를 창출할 것이라는 게 우리의 공통된 인식"이라고 주장했다. 신찬수 서울의대 학장. 중앙포토신찬수 학장은"수많은 의과대학생들이 휴학계를 제출했고 졸업반 학생들은 9월 초에 시작되는 의사국가고시 실기시험 응시를 철회했다. 스승으로서 참담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이런 불합리한 정책이 계획되고 추진되는 동안 아무 역할을 하지 못한 의과대학 교수들의 책임을 통감한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국립의료원 '코로나 꺾였다'다는데, 방역대책본부는 '폭풍전야'상반된 입장을 밝혀 혼란이 일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추행 외교관’ 국내엔 사과하지만 뉴질랜드엔 못하는 이유는?2017년 뉴질랜드 현지 근무 당시 동성 남성을 성추행한 혐의를 받고 있는 한국 외교관과 관련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오늘(2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국민에게 거듭 사과했습니다. 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호영 “극우 주장 때문에 중도 지지 못얻고있다”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가 전광훈 목사 등 8·15 집회 주최 세력과 적극적인 선긋기에 나섰다. 통합당이 집회를 방조했다는 여권의 비판이 계속되는 가운데 보다 선명한 ‘거리두기’에 나선 것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