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오전 경기도 수원시청 앞에서 전세사기ㆍ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가 당국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수원 전세사기' 피해 신고 건수가 400건을 넘어섰습니다
'수원 전세사기' 피해 신고 건수가 400건을 넘어섰습니다.접수자 대부분은 잠적한 임대인 정모씨 일가로부터 빌라나 오피스텔 등의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기에 처한 20~30대 세입자들입니다.
경기도는 그러면서"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협조해 정모 씨 일가의 전세피해 주택을 전수조사하고 있으며 공인중개사의 전세사기 가담 의심 행위 등도 집중적으로 살펴볼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기도는 지난 13일과 14일 팔달구에 위치한 옛 경기도청사에서 전세피해자를 위한 현장 설명회를 열고 ▲전세사기피해 접수 및 지원대상 결정 절차 ▲특별법에 따른 피해지원 및 경기도 피해 지원 내용 ▲경·공매 진행 절차 등을 안내하고 피해자별 개별 상담 등을 진행했습니다.경기도 전세피해지원센터에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피해 상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수원 전세사기’ 피해 760명 추산…경기도 전수조사 착수전세피해지원센터 408건 접수…경찰 고소도130여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경기도, ‘수원 전세사기’ 전수조사…“선제적 대응, 피해 최소화”경기 수원 일대에서 전세사기 의혹과 관련해 피해 의심 사례가 속출하면서 경기도가 피해 주택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15일 도에 따르면 경기도전세피해지원센터에 지난 13일까지 수원 전세사기 의혹 사건과 관련한 피해 신고가 모두 408건 접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잠적한 임대인 정모씨 일가(법인 포함)로부터 빌라나 오피스텔 등의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원 전세사기 부부 이어 아들도 출국금지…고소 115건에 160억 피해수원 전세사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임대인 부부와 이들의 아들도 출국 금지한 것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소인 115명으로 늘었다…수원 전세사기 검·경 핫라인 구축검찰이 수백억원대 피해가 예상되는 이른바 ‘수원 전세사기 사건’과 관련해 전담수사팀을 구성했다. 검찰은 이날 이 사건을 수사하는 경기남부경찰청과 ‘전세 사기 대응 검·경 실무협의회’를 열고 수사 관련 핫라인(hot-line)을 구축하기로 했다. 피해 임차인들로 구성된 전세 사기·깡통전세 피해자 수원대책위원회(대책위)는 이날 오전 수원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피해 규모가 600가구가 넘는다'고 주장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약 당첨'이 걸림돌…구제 못 받는 수원 전세사기 피해자[앵커]수원 일대에서 발생한 전세 사기 피해자가 94명으로 늘어났고 피해액도 120억원에 달합니다. 주로 젊은 직장인들이 목돈을 빼앗겼는데, 구제받을 특별법 대상이 안 돼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는 경우가 많다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