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고 싶은 아파트'에서 '순살 자이'로...되풀이된 재앙 [Y녹취록]

대한민국 뉴스 뉴스

'살고 싶은 아파트'에서 '순살 자이'로...되풀이된 재앙 [Y녹취록]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TN24
  • ⏱ Reading Time:
  • 65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9%
  • Publisher: 63%

■ 진행 : 이광연 앵커■ 출연 : 김규용 충남대 건축공학과 교수, 민동환 건설 전문 변호사*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교수님께서 다시 여쭤보면 전면 재시공 결정. 사실 ...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교수님께서 다시 여쭤보면 전면 재시공 결정. 사실 이번 사고, 다시 한 번 기억해 보면 한밤중에 갑자기 지하주차장 관련 공사 부분이 무너진 거거든요. 물론 이번 사고로 다친 사람은 없었습니다마는 예정대로 지어졌다면 그 위에는 아이들이 뛰어놀 놀이터가 만들어질 예정이었기 때문에 입주 예정자분들께서는 많이 실망하고 놀라지 않았겠습니까? 어떤 배경이 있었을까요? ◆김규용>우선 전면 재시공으로 판단한 점은 매우 큰 결단이고 잘한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건설기업으로서 해당 기업은 주택 브랜드 가치가 높고요. 특히 LH에서 발주한 사업이라서 상품가치와 더불어서 신뢰가치도 크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만큼 실망과 불안감이 크다는 것이 사실이죠. 건설붕괴는 유형이 크게 두 가지로 볼 수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지금처럼 시공 중에 붕괴되는 건설사고가 있고 또 건축시설물이 사용 중에 붕괴되는. 이거는 아주 매우 끔찍한 재앙이죠.◆김규용>1995년이죠. 삼풍백화점이 준공 후에 한 5년, 6년 정도 이후에 붕괴가 됐습니다. 1500여 명이 희생됐고요. 우리나라 사례뿐만 아니고 미국 플로리다 마이애미 침플레인 콘도에서도 12층 공동주택이었죠. 90여 명이 희생이 됐습니다. 경과 연수는 40년 정도였습니다. 사용 중에 건물이 붕괴된 사례는 조사 결과를 보면 이미 시공 단계에서 결함을 가지고 있었다. 그런 조사가 있는 것이죠.

◇앵커>교수님 말씀하신 대목 중에 핵심적인 대목이 신뢰라는 부분이 사용자만의 계약관계가 아니라 사회적 안전 문제가 우리 사회가 무너진 붕괴에 대한 트라우마 갖고 있는 아픈 기억이 많기 때문 아니겠습니까? 이번 사고 같은 경우 시공 중에 발생한 사고라고 우리가 알고 있는데 지금 단계가 아파트 건설 같은 경우 발주, 설계, 시공, 감리 이렇게 되어 있고 이번 국토부 조사 결과 총체적 부실, 이렇게 나오고 있거든요. 대체로 이런 문제가 발견될 때는 어느 단계에서 안전 문제가 많이 부각되고 발견되는 건가요? ◆김규용>구조물이 붕괴되는 현상을 추적을 하다 보면 큰 자연적인 재앙으로 붕괴되는 사례는 거의 없고요. 보면 자그마한 실수들, 이런 것들이 하나하나 중첩되고 또 모아지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큰 사고가 일어나는 것이죠, 하인리히 법칙처럼. 그런 것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왜 구조도면에 보강철근이 빠져 있는 것을 누군가 보지 못했고시공 중에도 결함이 있었죠. 그런 것들이 시공 관리 공백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조그만 것들이 많이 모아져서 이렇게 큰 재앙이 일어나는 것으로 대부분 조사가 되고 있습니다.[메일] social@ytn.co.kr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TN24 /  🏆 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마실 수 있고 수영도 가능' 오염수 발언 '일파만파' [Y녹취록]'마실 수 있고 수영도 가능' 오염수 발언 '일파만파' [Y녹취록]■ 진행 : 박석원 앵커, 엄지민 앵커■ 출연 :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 장성호 건국대 국가정보학과 교수*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사실상 찬반 입장을 밝힌 게 아닌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의왕 엘리베이터 폭행’ 20대 남성 구속[속보] ‘의왕 엘리베이터 폭행’ 20대 남성 구속경기도 의왕의 한 아파트 엘리베이터에서 이웃 여성을 무차별 폭행하고 성폭행하려 한 혐의를 받는 20대 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계선 아이, 정서와 적응력 키우는 것이 중요''경계선 아이, 정서와 적응력 키우는 것이 중요''경계선 아이, 정서와 적응력 키우는 것이 중요' 이보람 북도움학부모_연수 북부교육지원청 경계선_아이 느린학습자_정서 임효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옐런 “미·중 디커플링은 재앙...양국 중대한 이견 존재”옐런 “미·중 디커플링은 재앙...양국 중대한 이견 존재”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은 9일 미국이 디커플링(탈동조화)이 아닌 공급망 다양화를 추진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1 05:5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