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추기 중 2대가 ‘빈 곳’에 도달했다.
경북 봉화군 아연광산 갱도 붕괴 사고로 매몰된 광부 구조작업이 9일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고립된 작업자들 생존 신호를 확인하기 위해 투입된 매몰된 작업자들이 갇혀 있는 것으로 예상하는 지점이다.3일 경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쯤 지름 76㎜ 천공기가 목표 지점인 지하 170m 깊이에서 동공을 확인해 오전 7시13분쯤부터 갱도 내부 내시경 장비로 탐색을 진행하고 있다. 이어 오전 7시쯤에는 지름 76㎜ 천공기도 시추 작업에 성공해 갱도 내부 확인 작업을 준비 중이다.
이날 오전 10시 현재까지 내시경 확인 작업으로 작업자들의 생존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구조 당국은 내시경 카메라에 달린 음성장치를 통해 작업자 이름을 외치고 “불빛이 보이면 소리를 질러 주세요” “목소리가 안 나오거나 힘이 없으면 돌로 바닥이나 벽면을 두드려 주세요” 등을 반복하며 반응을 기다리고 있다. 구조당국은 작업자들이 생존해 있길 기대하며 음식과 야광등 등을 지하로 내려보내기도 했다. 지난 2일 오후 경북 봉화군 광산 매몰사고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구조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 26일 오후 6시께 발생한 사고로 작업자 2명이 지하 190m 수직갱도에 고립됐다. 연합뉴스이들이 갇힌 곳은 지하 190m 지점으로 추정된다. 사고는 제1 수직갱도 하부 46m 지점에 갑자기 밀려 들어온 토사 300~900t이 갱도 아래로 수직으로 쏟아지며 발생했다. 업체는 사고 후 자체 구조 작업을 하다 14시간이 지난 27일 오전 8시 30분쯤에야 119에 구조를 요청했다. 이 때문에 매몰된 작업자들의 가족은 광산 운영업체 측 늑장 대응으로 구조 작업이 지체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봉화 광산 매몰 추정지 인근 접근…이르면 3일 생사 확인이번엔 작업자 2명이 고립된 봉화 아연광산 소식입니다. 사고 여드레째입니다. 어제(1일)까지 구조 통로를 내는게 더디다고 전해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허송세월만 보냈다’ 봉화 광산 매몰사고 2차 시추 실패…전문가 “생존가능성 크다”전문가는 고립된 노동자들이 아직 생존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재해 시 생존율이 크게 떨어지는 시점은 72시간이지만, 수분공급 상태가 충분하다면 최대 21일은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