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네타냐후 총리와 거국내각을 만난 뒤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바이든은 미국의 2001년 9ㆍ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 경험을 얘기했다. 이 자리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2001년 알카에다의 테러를 경험한 자신과 미국인이 하마스의 기습 테러에 이스라엘 국민이 느끼고 있는 '충격, 고통, 분노'를 이해한다고 밝혔다. 이스라엘이 하마스에 대한 복수에만 급급해 '승리 이후'에 대한 뚜렷한 계획 없이 지상전에 착수하거나 가자지구를 점령한다면, 예상 못했던 전쟁 장기화로 적을 이기고도 사실상 승리하지 못했던 미국의 쓰라린 경험을 재현할 것이란 우려를 전하려 했다는 해석이다.
18일 이스라엘을 전격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이스라엘 국민에게 던진 충고다. 이날 네타냐후 총리와 거국내각을 만난 뒤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바이든은 미국의 2001년 9ㆍ11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 경험을 얘기했다.동시에 바이든 대통령은"분노에 잠식되지 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바이든은"9·11 이후 미국은 분노에 휩싸였다. 정의를 추구하고 정의를 쟁취했지만 동시에 실수도 저질렀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날 이코노미스트와 데일리 텔레그래프 등 외신은 하마스 섬멸을 내세우며 대대적인 지상전을 예고했던 이스라엘이 바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데엔 미국 등 국제사회의 외교적 압박뿐 아니라 '힘에 의한 평화' 이후의 시나리오이 부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행 가능한 안보, 정치 전략 없이 보복만 강조하면 자국의 정치적 혼란을 부르고, 더 독하고 강한 적을 만드는 '빛바랜 승리'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2001년 9·11테러 직후 당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아프가니스탄에 숨어 있던 알카에다의 수장 오사마 빈 라덴의 신병 인도를 요구했다. 탈레반 정권이 거절하자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그해 11월 탈레반 정권을 몰아냈다.
아프가니스탄과 유사하게 미국은 전후 이라크의 안정화에 실패했다. 득 없는 전쟁에 버락 오바마 미국 정부는 2011년 이라크 주둔군을 철수시켰지만, 그 사이 이라크 내 종파 분열은 극에 달하게 됐다. 오히려 한층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극단주의 테러조직 ISIS가 만들어지는 계기가 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스라엘 찾은 바이든 '분노에 먹히지 말라' 과잉 보복 경계[앵커]가자지구 병원 폭격으로 어수선한 가운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을 찾아 미국의 변함없는 지원을 약속했습니다.동시에 이스라엘을 향해 분노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타냐후와 포옹한 바이든...'분노에 먹히지 말라'[앵커]가자지구 병원 폭격 이후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을 찾아 미국의 변함없는 지원을 약속했습니다.또 가자지구에 인도적 지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스라엘 찾은 바이든 '분노에 먹히지 말라' 과잉 보복 경계[앵커]가자지구 병원 폭격으로 어수선한 가운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을 찾아 미국의 변함없는 지원을 약속했습니다.동시에 이스라엘을 향해 분노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타냐후와 포옹한 바이든...'분노에 먹히지 말라'[앵커]가자지구 병원 폭격 이후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을 찾아 미국의 변함없는 지원을 약속했습니다.또 가자지구에 인도적 지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하마스, 인질과 팔레스타인 수감자 6천명 교환 협상 내비쳐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지난 7일(현지시각) 이스라엘 공격 과정에서 억류한 인질들을 이스라엘에 수감중인 팔레스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질 200명 대 팔레스타인 수감자 6천명’…하마스, 교환 협상 내비쳐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지난 7일(현지시각) 이스라엘 공격 과정에서 억류한 인질들을 이스라엘에 수감중인 팔레스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