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최근 지역 축제에서 연이어 '바가지 논란'이 일었습니다. 옛날과자가 한 봉지에 7만 원씩 하고 ..
최근 지역 축제에서 연이어 '바가지 논란'이 일었습니다. 옛날과자가 한 봉지에 7만 원씩 하고 어묵은 한 그릇에 1만 원에 팔려 갑론을박이 이어졌죠. 저희 취재진이 알아봤더니 이게 이유가 있었습니다. 어떻게 된 일인지 영상 먼저 보시죠.
최근 끝난 강릉 단오제에서 한 식당이 내놓은 음식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순대가 보이네요. 오징어순대도 있고요. 소스를 올린 양배추도 보이네요. 이거 얼마일 것 같으세요? 3만 원이랍니다. 축제 때 음식이야 비쌀 수 있지만 요즘 해도 해도 너무하다 싶은데 왜 이런 건지 다음 장면도 볼까요?[김모 씨/축제 상인 : 마감하자, 마감해. 너무 많이 해가지고 살릴 돈이 없네. 2600에 30% 얼마야. 30% 계산하면 얼마야, 수수료 30%.{750.} 750 입금해야 되네. 작년의 반도 안 됐다.][기자] 지역 축제는 보통 그 지역에 사는 사람만 음식점을 운영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지역 주민이 상인에게 명의를 빌려주고 자릿세로 매출의 30%를 떼가는 겁니다. 취재진이 이 상인을 따로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는데요. 보시죠.
[김모 씨/축제 상인 : {사는 지역이 어디세요?} 저는 논산이에요. {강원도민만 운영할 수 있는 가게 아닌가요?} 여기 그렇죠. 매출액만 30%를 가져가는 거죠. 우리는 인건비, 재료비… 손 안 대고 코 푸는 거죠.]그래서 음식값을 비싸게 받을 수밖에 없다는 거죠. 돈을 받는 방식도 독특한데요. 카드로 계산하면 이모 씨가 뜨는데요. 이 자리 주인입니다. 현금으로 계산을 하려고 계좌이체를 하면 최모 씨가 나오는데요. 식당을 운영하는 상인 이름이고요. 세금 때문이라고 합니다. [기자][지역 축제 브로커 : 관례대로 통용되던 걸 이 바닥에서 나만 잡자고 하면 너무 억울하잖아요. 몇백 받았어요. 올해는 일체 그런 게 없어요.]바로 잡지 않으면 결국 피해는 축제를 즐기러 온 시민들 몫이잖아요. 뭔가 대책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소멸 위기 지역 살리는 길, 지차체는 소농에 투자해야'충남 홍성 '지역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 인증제 도입 방안 모색' 토론회 열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구경찰청장 책임 묻겠다’는 홍준표에 “어떻게?” 반문한 경찰'책임을 묻겠다는 보도는 봤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황의조 영상 팝니다'...사생활 유출 논란에 2차가해 우려도 [Y녹취록]'사생활 논란' 황의조, 팬미팅 취소하고 두문불출 / 황의조 측 '사실 아냐, 강력 법적 대응 할 것' / 황의조 '사생활 논란' 속 '영상 팝니다' 정황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성소수자 목회로 다시 재판받는 이동환 목사 “사랑의 판결 내려달라”성소수자 목회로 다시 재판받는 이동환 목사 “사랑의 판결 내려달라”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빈볼 주장한 오재원 해설위원, 비판 속 계약 해지삼성-SSG 경기서 양창섭의 몸에 맞는 공에 "대놓고 때린 것" 발언 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