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만6000년 만에 깨어난 벌레. 선충류로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종이다. 과학자들은 이 벌레에 '파나그로라이무스 콜리맨시스(Pan..
4만6000년 만에 깨어난 벌레. 선충류로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종이다. 과학자들은 이 벌레에 '파나그로라이무스 콜리맨시스'라는 이름을 붙였다.〈사진=독일 공립 과학연구기관 '막스플랑크협회' 홈페이지 캡처〉현지시간 27일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 등에 따르면 이 벌레는 지난 2018년 러시아 과학자들이 시베리아 콜리마가 인근 빙하 퇴적층에서 처음 발견했습니다.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 벌레는 마지막 빙하기에 휴면에 들어갔던 선충류의 일종으로 확인됐습니다. 휴면은 동식물이 생활 기능이나 발육을 멈추는 것을 뜻합니다. 선충류는 휴면을 해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벌레들은 12만6000년에서 1만1700년 전인 '플라이스토세' 후기부터 땅속에 얼어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플라이스토세 때는 매머드와 네안데르탈인 등 고대 생명체들이 살았습니다. 이 벌레는 살아난 즉시 번식을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외신 매체들은"지금까지 2억5000만 년 전의 단세포 미생물이나 박테리아가 되살아난 경우는 있었다. 다세포 생명체 중 되살아난 건 이번이 가장 오래된 사례"라고 전했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시베리아 동토에 묻혔던 벌레, 4만6천년 만에 깨어나석기시대 벌레가 얼어붙은 땅에 갇혀있다 4만 6천 년 만에 깨어나 생명을 되찾았습니다. 영국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 생물은 2018년 시베리아 콜리마강 인근 화석화한 다람쥐 굴과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은행, 금융완화 수정…장기금리 변동 상한 0.5% 초과 용인(종합) | 연합뉴스(도쿄=연합뉴스) 박성진 특파원=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28일 7개월 만에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수정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이테크+] DNA에 담긴 신석기 유럽 사회는…'일부일처-시집살이 사회'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독일과 프랑스 국제 연구팀이 프랑스에 있는 7천년 전 신석기 시대 공동묘지에서 발굴된 유골들의 DNA를 분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