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바키아에서는 이 방식으로 큰 산불로 인한 피해가 사라졌습니다.\r산불 대형산불 물모이 폭우
슬로바키아에서 온 환경운동가 마이클 크라빅 박사의 말이다. 그는 지난 6일 강원 동해시의 한라망상공원의 산불 피해 현장을 방문했다. 3년 전 산불로 빼곡했던 나무가 다 타버리고 지금은 묘목들이 듬성듬성 심어진 곳이다. 크라빅 박사는"한국은 여름에 폭우가 쏟아지는데 봄마다 산불을 끄려고 땅에서 물을 퍼다 나릅니다. 이상하지 않나요?"라고 했다. 비영리재단 '사람과물'의 이사장인 그는 1999년 세계적인 물 관리 공로를 인정받아 환경분야 노벨상이라 불리는 골드만 환경상을 받았다.
슬로바키아엔 물모이 10만개 크라빅 박사는 슬로바키아의 '산림 빗물 저장 방식'을 소개했다. 슬로바키아는 지난 2005년 대형 산불로 120km²의 산림을 잃었다. 같은 장소에 폭우가 쏟아진 지 겨우 1년 뒤였다. 이때 환경 전문가들 사이에선 빗물을 저장해 산불을 막자는 주장이 나왔다고 한다. 숲에 있는 나뭇가지와 돌을 쌓아 물이 빠져나가지 못 하게 하는 초소형 웅덩이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명예교수는 이 웅덩이를 한국말로 '물모이'라고 번역했다. 대형 산불 이후 슬로바키아에는 10만개가 넘는 물모이가 만들어졌고, 큰 산불로 인한 피해는 사라졌다. 높은 산에 고인 물이 그 자리에서 증발하고, 수증기는 구름이 되어 다시 비로 내린다. 물 순환으로 산불 방지뿐 아니라 산림 생태계가 확장돼 탄소 포집 효과까지 얻는다는 게 그의 논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백종원도 숟가락 끝 떨었다, 제주 토박이만 먹는 '봄의 보물'아무리 비린 것을 못 먹는 사람도 전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r백종원 백종원사계 멜 제주맛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하이 봉쇄] ② 짓눌리는 중국 경제…5.5% 성장 물 건너가나 | 연합뉴스(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중국의 '경제수도'로 불리는 상하이를 덮친 기약 없는 장기 봉쇄가 올해 중국 경제를 짓누르는 최대 위협 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만해역서 발견된 시신 2구, ‘교토 1호’ 한국 선원으로 확인시신은 사고가 발생한 지점에서 북서쪽으로 4.5해리 떨어진 지점에서 인양됐으며, 현지 병원에 안치 중이다. 외교부는 현지 공관 영사를 병원에 파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산 거리를 축제로” 제18회 안산국제거리극축제 개최매년 5월 안산 곳곳을 무대 삼아 다양한 거리극을 선보이며 대한민국 대표 공연예술축제로 자리매김한 이 축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검수완박' 질문에 '난 국민 먹고사는 것만 신경쓸것''형사사법제도는 법무부하고 검찰하고 하면 된다'\r윤석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