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먹는 하마 챗GPT 잡아라'…국산 AI반도체 시계 빨라진다
조성미 기자=챗GPT 열풍으로 생성 인공지능 분야 글로벌 경쟁이 달아오르면서 AI 반도체 분야에서 2030년까지 세계 정상에 서겠다는 정부의 발걸음도 바빠지기 시작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챗GPT 돌풍을 전후로 국내외 빅테크와 반도체 업계가 생성 AI를 구현하는 AI 반도체를 차세대 먹을거리로 주목하며 원천 기술 개발과 시장 선점에 열을 올리고 있다.GPU 강자인 엔비디아 'A100' GPU 1만여 개를 사용한 챗GPT는 그래서 천문학적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부담에 서둘러 유료화에 나섰지만, 이런 방식이 지속 가능한지 의문이 제기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몇 센트'를 5센트로 가정하고 최근 1억 명에 도달한 가입자가 하루 10번 사용한다고 하면 하루 630억 원, 한 달에만 1조9천억 원에 가까운 AI 운영 비용이 발생한다는 이야기다.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가 고속 누적 연산까지 수행하며 전력 소모를 크게 낮춘 PIM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 정보기술·반도체 업계가 손잡고 AI 반도체 개발 경쟁에 뛰어들었는데, 가장 주목받는 행보는 삼성전자[005930]와 네이버의 동행이다. 두 기업은 지난해 말 AI 반도체 솔루션을 공동 개발하겠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메모리 사업부가 비제조업체인 네이버와 손잡고 AI 시스템의 데이터 병목을 해결하고 전력 효율을 극대화할 AI 반도체를 만들기로 한 것이다.AI 반도체 개발의 관건은 저비용·고효율화 달성이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와 네이버의 제휴처럼, 더 싸고 더 효율적인 AI 반도체를 만들기 위한 업종 간 합종연횡이 앞으로 더 활발해질 것으로 내다본다.
챗GPT 열풍 이전 해외에서는 이미 시작된 흐름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 세계 1위인 아마존웹서비스는 자사 전용 AI 반도체, 인프렌시아를 개발해 GPU 시스템보다 최대 70% 낮은 비용에 영상 인식 서비스 속도를 8배 높인 바 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산 AI 반도체를 단계별로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국내 클라우드에 기반한 AI 서비스를 실증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산 AI 반도체 레퍼런스 확보 차원인데, 올해 428억 원, 2025년까지 1천억 원을 지원한다.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 7개 사업을 지난달 통합 공고했고 'AI 반도체 팜' 구축 사업자는 다음 달 결정될 예정이다. 그 사업자로 어떤 클라우드-반도체 컨소시엄이 선정될지 주목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리벨리온, '챗GPT 원천기술 지원' AI 반도체 국내최초 출시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규진 기자=인공지능(AI) 반도체 팹리스 기업 리벨리온은 데이터센터향 시스템온칩(SoC) '아톰'(ATOM)을 출시한다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월 20달러 '챗GPT' 유료서비스 국내 상륙…직접 써보니월 20달러 '챗GPT' 유료서비스 국내 상륙…직접 써보니 매주 금요일엔 JTBC의 문이 열립니다. 📌 '오픈 뉴스룸' 방청 신청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막을 수도, 권할 수도…챗GPT 두고 대학가 '술렁'보신 것처럼 이미 대학가에서 챗GPT 기술은 새로운 화두가 됐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 인공지능을 접하고 역량을 확인하는 정도여서 학습의 어떤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지, 또 어떤 단계까지만 허용할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계속 고민해야 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 더러운 비밀'…구글보다 '챗GPT'가 지구에 더 나쁜 이유 | 중앙일보하지만 어두운 그림자도 있습니다. 바로...\r챗봇 챗GPT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챗GPT' 시대 도래…'이젠 발달하는 뇌 부위가 달라질 것'인공지능 챗봇 챗GPT의 등장에 관심이 쏟아지고 있지요. 특히 교육현장은 혼란스러운 모습인데, 그동안의 교육방식 그러니까 개념을 정리하고 잘 기억하도록 하는 건 의미가 없어질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中 챗봇 '챗위안' 서비스 중단…'챗GPT'는 어떻게 생각할까?중국의 첫 인공지능(AI) 챗봇으로 알려진 '챗위안'이 공개 사흘 만에 관련 규정 위반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됐다고 대만 언론이 12일 보도했다. 지난 3일 서비스를 개시한 '챗위안'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전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