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16일 부산 개막
한국 경영학자와 기업인들은 지식경제와 상업경제가 맞물린 산업 혁신 생태계가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돌아갈 때 지역 곳곳에까지 스며들 수 있다고 봤다. 이번 매일경제·한국경영학회 설문조사에서도 310명의 응답자들은 기업과 지식·기술, 사회 혁신, 정부 혁신 분야 경쟁력이 통합된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가 향후 국내 경제 성장 모멘텀이라고 지적했다.이 밖에 신산업 지식·기술 생태계, 신산업 기업 생태계, 신산업 혁신 금융 생태계, 신산업 테스트베드, 지역 정주여건, 외국 전문인력과 산업기능인력 활용 여건 등도 골고루 강조됐다. 과거 혁신 시스템이 정부를 중심으로 한 자원 투입에 의존하는 것과 달리 다양한 요인 간 유기적 관계가 맺어져야 신산업 혁신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민간 기업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 내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공급 여건 개선, 지역 내 신산업 인프라스트럭처 개발과 고도화, 지역 내 대학·연구기관·기업 간 지식생태계 조성과 역동성 제고, 지역 내 개방적 사회문화와 정주여건의 국제적 수준 고도화 등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 부산과 대전의 경쟁력이 높게 나왔지만 수도권과 비교하면 한참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과 대전의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 경쟁력은 수도권의 53.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의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의 국제 경쟁력은 도시 부문 글로벌 20위 정도로 파악됐고 경기도는 24위로 나타났다. 한국이 '지역 혁신 역할 모델'로 참고해야 할 국가와 지역으로는 미국과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 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이 꼽혔다. 미국은 실리콘밸리 외에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뉴욕주 뉴욕, 텍사스주 오스틴,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워싱턴주 시애틀 등을 깊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금융·물류 양날개 다는 부산…문화·관광 더해 '飛上''부산엑스포 & 신산업 혁신 생태계' 세션産銀이전·대체거래소 유치로해양·파생금융 분야 특화해야가덕도 신공항·부산신항 연계물류중심 도시로 재탄생 가능지역 기업 혁신 생태계 만들고첨단산업·마이스분야 지원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쏘렌토 보니 “지금도 어이가 없네”…‘사생결단’ 싼타페와 비교결과는 [최기성의 허브車]‘혁신’ 싼타페와 ‘개선’ 쏘렌토 대결가성비 높은 트림인 트렌디는 없애3506만~4831만원, 185만원 인상3년 만에 입장바뀐 ‘혁신 VS 개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글로컬 생태계, 부산이 최적지… 엑스포 유치로 혁신 발판 놓자'매경·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부산 벡스코서 개막지역균형발전 없인 성장 한계'교육·재정 지자체 권한 강화''서울·부산 두 바퀴로 달리자'정부경영대상 공동수상자로부산시·경북도·국토부 선정'혁신 성장 환경 조성에 기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콘진, '인디 게임' 발전 위해 '경기게임잼과 함께하는 비버잼' 개최18~20일 판교 스마일게이트 퓨처랩... 인디 게임 산업 활성화로 게임 산업 생태계 초석 마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