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미령 기자=한글 자음을 '기역, 니은, 디귿 …' 대신 모음 'ㅏ'를 붙여 '가, 나, 다 …'로 읽는 것이 배우기에 좀...
김도훈 기자=한글날을 하루 앞둔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이 한글 자음·모음 활자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2024.10.8 [email protected]
이미령 기자=한글 자음을 '기역, 니은, 디귿 …' 대신 모음 'ㅏ'를 붙여 '가, 나, 다 …'로 읽는 것이 배우기에 좀더 체계적이고 실용적이라는 제언이 나왔다.이 교수는 우선 1988년 문교부 고시 '한글 맞춤법'에 따른 현행 자음자들의 이름이 과학적이지도 체계적이지도 않다고 지적했다.'ㄱ, ㄷ, ㅅ'을 제외한 나머지는 '니은, 리을, 미음, 비읍'처럼 'ㅣ'와 'ㅡ'를 기준으로 해서 초성과 종성 부분에 해당 자음자를 놓아 2음절로 명명하고 있다.당시에는 초성과 종성에 둘 다 쓸 수 있는 자음자와 초성에만 쓸 수 있는 자음자가 구별돼 있었다. 초성과 종성에 모두 쓰이는 자음자의 경우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의 2음절로 제시했다.
이 교수는 이에 따라 현행 2음절 이름보다는 각 자음자에 같은 모음 하나를 붙이는 1음절 이름이 더 타당하고 배우기도 쉬우며, 모음 중에서도 'ㅏ'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제안했다.이 교수는"입을 가장 크게 발음하면 상대적으로 자음자가 크게 들리고, 음성학적으로 다른 모음에 비해 동반하는 자음자를 잘 드러내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에 더해 자음자를 '가, 나, 다, 라 …'로 읽는 것이 대중성과 실용성 차원에서도 적합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자음자 이름은 용이성이 꼭 필요하다. 한글을 쉽게 배울 수 있어야 한다"며"'가나다라마바사…' 등 노래 가사는 한국인에게는 아주 일반화돼 있고, 실제 한글을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게 한글 자모자를 교육하는 데도 훨씬 효과적이다"고 설명했다.직장인 박모 씨는"초등학교 입학 전 한글을 배울 때부터 '기역, 니은, 디귿'으로 익혔기 때문에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는데, '가, 나, 다'로 변경하면 여러모로 합리적일 것 같다"며"아이가 한글을 떼기도 한결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대학에서 유학 중인 재미 교포 김모 씨는"한국어를 본격적으로 배우며 가장 먼저 맞닥뜨린 어려움이 '기역, 니은, 디귿'이었다. 달리 익힐 방법이 없어 달달 외우는 수밖에 없었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금리 2.9%P나 깎였는데 더 인기라고?”...실속파들이 챙긴다는 통장의 정체케이뱅크 ‘생활통장’, 올해 들어 두 번 리뉴얼 연 금리 0.1%로 낮춘 대신 ‘실시간 리워드’ 강화 목돈보관 ‘플러스박스’로 유도…파킹 금리 최대 3%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 돈 '0원'으로 21억 아파트 매수 … 가짜 자금조달계획까지집값 급등기 판친 탈법·편법거래 …정부, 의심사례 397건 적발'○억 이하로 팔지 마세요'입주민 채팅방서 담합도올여름 부동산시장 불장에'부모찬스'로 아파트 매매편법증여·법인돈 유용 속출위법의심거래 69%가 서울강남3구·마용성에서 빈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日 디지털월급 시대…현금 대신 ‘페이페이 포인트’로 받는다소프트뱅크그룹 10개 회사 대상 최대 20만엔까지 포인트로 받아 한국 카카오페이와 제휴한 회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계급장 떼고 도피한 지휘관, 국군이 저지른 참담한 패전[길 위에서 읽는 한국전쟁 38] 다시 38선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건희 명품백 사건’, 수심위 ‘무혐의’로 다 끝나는 건 아니다 [9월9일 뉴스뷰리핑]정치, 경제, 사회, 국제 분야를 두루 취재하고 워싱턴 특파원을 지낸 권태호 논설실장이 6개 종합일간지의 주요 기사를 비교하며, 오늘의 뉴스와 뷰스(관점·views)를 전합니다. 월~금요일 평일 아침 9시30분, 한겨레 홈페이지(www.hani.co.kr)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믿고 돈 맡겼더니, 어이가 없네”…은행들, 올해 사고로 날린 돈이 자그마치5대은행, 8월까지 26건 발생 사고금액 최근 2년치 넘어서 100억 이상 횡령·배임도 7건 국감서 대책 요구 이어질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