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금리 인상 장기화 전망에 원화값이 급락하고 은행권 대출금리가 오르는 등 금융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실물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없도록 당국의 선제적인 금융 위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채권시장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3일(현지시간) 4.8%를 넘어 16년 만에 최고를 찍은 뒤 4일 국내 주식시장에선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
미국발 금리 인상 장기화 전망에 원화값이 급락하고 은행권 대출금리가 오르는 등 금융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실물경기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는 일이 없도록 당국의 선제적인 금융 위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 채권시장 벤치마크인 미국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3일 4.8%를 넘어 16년 만에 최고를 찍은 뒤 4일 국내 주식시장에선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고 원화값이 연중 최저치로 급락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고금리 정책이 장기화될 것이란 전망이 커지자 불안심리가 일시에 분출된 결과다. 월가에서는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1.5%포인트 높은 7%까지 오를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가뜩이나 미국보다 기준금리가 낮아 금리 인상 압박을 받는 한국으로선 공포스러운 전망이다.
3일 국제통화기금이 최근 업데이트한 '세계부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08.1%를 기록했다. 5년 만에 16.2%포인트 급증해 관련 데이터가 집계되는 26개국 가운데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에 가계 허리가 휠 수밖에 없다. 팬데믹 이후 대출로 버텨온 자영업자들이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하는 사례는 이미 속출하고 있다. 2분기에만 자영업자 연체액이 1조원 이상 늘어 역대 최대 규모에 이르렀고, 연체율도 8년9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700조원이 넘는 주택담보대출도 뇌관이다. 5대 시중은행의 주담대 변동금리는 4일 상단이 7.1%를 넘어섰다. 금리가 더 오르고 집값이 떨어지면 부동산 시장뿐 아니라 금융 시스템까지 충격을 받게 된다.
당국은 금리가 더 오르고, 고금리가 장기화되는 상황을 가정해 안전판을 만들어야 한다. 부동산 시장 부실이 금융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부동산 관련 대출 규모를 줄이고, 변동금리는 고정금리로 전환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갖가지 명목으로 시행 중인 특례성 대출도 확 줄여야 한다. 한계차주에 대해선 무조건 대출을 연장할 게 아니라 회생 가능성을 따져 일부는 사회안전망으로 구제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美고용 예상밖 강세 … 월가 '고금리 더 지속' 비관론 고개美국채 10년물 16년만에 최고8월 구인 7.7% 늘어 961만건제조업 호조에 국채금리 쑥30년 모기지금리 23년來 최고다우 올 수익률 마이너스 전환증시 공포지수 은행위기 근접日증시 넉달만에 31000선 붕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국채금리 16년만에 최고치…고금리 장기화 전망 영향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금리 정책이 예상보다 오래갈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면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점점 커지는 美 긴축 공포…코스피·코스닥 2.4%, 4% 힘없이 추락 [이종화의 장보GO]美 10년물 4.8% 넘으며 16년 만에 최고 금리상승 부담에 코스피·코스닥 동반급락 美 8월 구인건수 시장 전망치 크게 상회 8월 국내 생산, 30개월 만에 최대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설] 미 국채금리 오르고 엔저는 역대급…안전벨트 단단히 맬 때이날 미국 제조업지수가 예상보다 좋게 나오자 시장에선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내년에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더 작아졌다고 본 것이다. 시장금리가 오르면 Fed가 추가 긴축에 나설 가능성이 커지고 현재 최대 2%포인트까지 벌어진 한·미 기준금리 격차를 고려할 때 우리도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압박이 생긴다. 저성장이 걱정인데 한국은행은 정작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난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막뉴스] '美 국채금리 왜 이래'...원화 앞 두려운 시나리오세계 채권 거래의 기준이 되는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108%…한국, 26개국 중 최고 상승폭“저금리 때 주담대 많이 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