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러시아와 중국을 겨냥해 대북 제재 의무 준수를 강하게 촉구했다. 윤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JCC)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모든 유엔 회원국은 안보리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 그러한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책임은 더욱 무겁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 미사..
윤 대통령은 7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모든 유엔 회원국은 안보리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 그러한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책임은 더욱 무겁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은 중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자 세계 평화에 대한 정면 도전이며 오늘 회의에 참석한 모든 국가를 겨냥하고 타격할 수 있는 실존적인 위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이 회의에는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도 참석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북한 제재를 외면하는 중국을 직간접적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많은 북한의 불법, 은밀한 행동들이 중국이라는 영토와 공해상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조금 더 신경을 써서 유엔 안보리의 기존 제재를 철저하게 이행하는 데 중국이 나섰으면 좋겠다는 역할의 촉구"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또"아세안이 성장의 중심축 역할을 하면서 인도·태평양 지역이 계속 번영하기 위해서는, 역내 핵심 해상 교통로인 남중국해에서 규칙 기반의 해양 질서가 확립돼야 한다"며"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 시도는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 국제법 원칙"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동아시아정상회의 이후 리창 총리와 별도로 만나 한중회담을 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후 10개월 만의 중국 최고위급 인사와의 회동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尹, 중·러 앞서 “북핵 제재, 안보리 상임이사국 책임 더 커”윤석열 대통령이 북한의 핵 개발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 이사국의 책임은 더 무겁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북한의 핵, 미사일 개발은 중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자 세계 평화에 대한 정면 도전'이라며 '북한의 핵 개발 의지보다 이를 저지하려는 국제사회의 결의가 훨씬 더 강력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모든 유엔 회원국은 이런 안보리 제재 결의를 준수해야 하며, 결의안을 채택한 당사자인 안보리 상임 이사국의 책임은 더 무겁다고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러 동시에 겨냥한 尹대통령 '안보리 상임이사국 책임 무겁다'대북제재 책임론 재차 강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YTN 실시간뉴스] 북중러 '밀착'...尹, 중·러 면전 비판■ 허위 인터뷰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의혹 당사자 중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view] 북중러판 캠프 데이비드 현실화 우려 …“성사땐 신냉전 서막”아직은 시나리오 수준이지만 외교안보 전문가들 사이에선 9월 블라디보스토크 북·러 정상회담에 이어 10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할 예정인 베이징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상포럼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격 참석해 사상 첫 ‘북·중·러판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가 열릴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커비 조정관은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이후 북·중·러가 협력 강화 움직임을 보이면서 동북아시아 안보가 불안해지고 있다는 지적에 '중·러 관계가 확대·심화되는 것이 확실히 보이고, 평양과 모스크바는 무기 거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북·러 간에는 지난 7월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의 방북 이후 무기 거래 등 군사협력 강화와 북·중·러 연합 군사훈련 논의에 이어 다음 주 정상회담 개최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