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전공의 첫 만남, 의대 증원 입장 차이 좁혀가야 [사설]

대한민국 뉴스 뉴스

尹 대통령·전공의 첫 만남, 의대 증원 입장 차이 좁혀가야 [사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전공의들의 대표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다는 정부 방침에 대한 전공의들의 입장을 경청했다. 박 위원장이 면담이 끝난 뒤에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습니다'라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린 걸 보면 파업 중인 전공의가 조만간 복귀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하지만 의대 증원을 비롯한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전공의들의 대표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다는 정부 방침에 대한 전공의들의 입장을 경청했다. 박 위원장이 면담이 끝난 뒤에"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습니다"라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린 걸 보면 파업 중인 전공의가 조만간 복귀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하지만 의대 증원을 비롯한 의료개혁을 위해 양측이 만남을 시작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 윤 대통령이"의사 증원 논의 시 전공의 입장을 존중하겠다"고 약속까지 했으니 대화 의지는 충분히 밝힌 셈이다.

다행인 것은 정부와 의료계 모두 의료개혁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 한국은 사람 목숨을 살리는 필수의료는 수가가 낮아 붕괴 위기다. 몇 년 후면 수도권 밖에서는 심장·뇌 수술을 받는 게 불가능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게다가 의료비 지출은 감당 불가능할 정도로 늘어나고 있다. 국내총생산 대비 의료비 비율이 2022년에 이미 9.7%로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인 9.3%를 넘어섰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2022년 898만명에서 2030년 1298만명으로 증가하면 의료비 지출은 더욱 폭증할 것이다. 불필요한 의료 수요를 통제하면서 필수의료를 살릴 해법을 찾지 못하면 건강보험 재정은 물론이고 의료 시스템 전체가 붕괴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의대 증원부터 합의점을 찾지 못해 전공의들이 파업까지 하고 있으니 답답한 일이다. 윤 대통령은 취임사에서부터 이견을 조정·타협하기 위해서는 과학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尹 대통령·전공의 첫 만남,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 [사설]尹 대통령·전공의 첫 만남,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 [사설]윤석열 대통령이 4일 전공의들의 대표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과 면담을 갖고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다는 정부 방침에 대한 전공의들의 입장을 경청했다. 박 위원장이 '증원 백지화'를 요구했다고 하니 파업 중인 전공의들이 조만간 복귀할 가능성은 낮은 게 사실이다. 하지만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의대 증원을 비롯한 의료개혁을 위해 대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 ‘대화 추진’에 “긍정적” “증원 철회 먼저” 엇갈린 의료계대통령 ‘대화 추진’에 “긍정적” “증원 철회 먼저” 엇갈린 의료계정부의 ‘의료개혁’을 반대하는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와 전공의, 교수들이 24일 모여 ‘의대 정원 증원’ 저지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26일부터 미복귀 전공의 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도권 역차별, 분노 폭발” 수험생·학부모도 의대 증원·배정 취소소송“수도권 역차별, 분노 폭발” 수험생·학부모도 의대 증원·배정 취소소송서울지역 의과대학생 및 학부모, 수험생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및 배정 방침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의대 교수들과 전공의 대표에 이어 같은 취지의 소송에 나선 것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공의·의대생·수험생이 낸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도 각하전공의·의대생·수험생이 낸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도 각하법원이 대학병원 교수와 전공의·의대생·수험생들이 의대 증원 처분을 중단해달라며 낸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전날 전국 33개 의대 교수협의회 대표들의 집행정지 신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거꾸로 가는 전공의…64% '의대 정원 감축'거꾸로 가는 전공의…64% '의대 정원 감축'전공의·의대생 설문조사34% '수련의 과정 포기'법원, 의대 증원 집행정지 각하'경제 피해는 이익관계에 불과의학 교육은 교육여건의 문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출구 없는 ‘의·정 갈등’ 2차 법정공방…“처분성 명확 vs 집행정지 요건 아냐”출구 없는 ‘의·정 갈등’ 2차 법정공방…“처분성 명확 vs 집행정지 요건 아냐”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의 적법성을 두고 정부와 의료계가 또 법정 공방을 벌였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박정대 부장판사)는 22일 전공의·의대생들이 보건복지부 장관과 교육부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7 23:0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