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무단월북 주한미군 트레비스 킹 이병 추방하기로

대한민국 뉴스 뉴스

北, 무단월북 주한미군 트레비스 킹 이병 추방하기로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33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1%

판문점 관광도중 월북·구금 71일만 구체적인 추방 시점·경로 설명 안해

구체적인 추방 시점·경로 설명 안해 북한은 무단 월북한 주한미군 소속 트레비스 킹 이병을 추방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킹 이병이 지난 7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관광 도중 월북한 지 71일 만이다.통신은 “지난 7월 18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내로 불법 침입했다가 억류된 미군병사 트레비스 킹에 대한 조사가 끝났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기관에서 조사한 데 의하면 트레비스 킹은 미군 내에서의 비인간적인 학대와 인종차별에 대한 반감, 불평등한 미국사회에 대한 환멸로부터 공화국 영내에 불법 침입했다고 자백했다”고 설명했다.이날 북한이 킹 이병의 추방을 결정하기 앞서 미국측과 모종의 물밑 협상을 펼쳤는지도 현재로선 미지수다.

앞서 매슈 밀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지난 7월 24일 정례브리핑에서 킹 이병의 석방을 위해 북측과 대화를 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북한과 실질적인 소통이 없다”고 답변했다. 이후 북미 양국은 킹 이병 사건과 관련해 눈에 띄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북한이 킹 이병을 조사한 이후 그를 미국에 대한 일종의 ‘협상칩’으로 활용할 여지가 크지 않다고 판단해 추방하기로 결정했을 개연성도 있다. 북한으로서는 킹 이병이 앞서 구금 도중 사망했던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처럼 북미관계에서 또 다른 걸림돌이 될 것을 우려했을 수도 있다.과거 미국은 북한에 억류됐던 자국민을 석방시키기 위해 전·현직 고위급 인사를 평양에 보내기도 했다. 지난 2009년에는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이 취재 도중 북한에 억류됐던 미국인 여기자 2명을 석방시키기 위해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동하기도 했다.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직전이던 2018년 5월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회담을 갖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전달한 뒤 북측에 억류됐던 한국계 미국인 3명과 함께 귀국한 바 있다. 그러나 북측이 이번에 킹 이병에 대한 추방을 발표하기 전에 이 같은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았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신원식이 국방부 장관? 어떻게 안심하고 자식 군에 보내나''신원식이 국방부 장관? 어떻게 안심하고 자식 군에 보내나''A 이병 오발탄 사망 조작' 사건 당시 부대원 공개 기자회견... "가장 책임 있는 사람은 신원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11: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