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에너지(LNG·메탄올·수소·풍력) 허브 구축해 친환경 물류 선점할 것' ■ 차세대 친환경 선박 연료 메탄올, 세계 최초로 컨테이너선에 공급 성공 ■ '울산항의 궁극적 목표는 무탄소 에너지 수소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것' 김재균(67) 사장은 2년 전인 2021년 8월 울산항만공사(UPA) 제6대 기관장 자리에 올랐다. 이와 관련해 국내 최초로 오일·LNG 복합 터미널을 조성하는 ‘에너지 허브 1단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 허브 1단계는 울산항만공사가 지은 하부 시설 위에 복합 터미널을 짓는, 사업비 1조6000억원 규모의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사업이다.
■ “울산항의 궁극적 목표는 무탄소 에너지 수소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것”김재균 사장은 2년 전인 2021년 8월 울산항만공사 제6대 기관장 자리에 올랐다. 1981년부터 2021년까지 40년간 울산대 산업경영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며 환경 안전과 품질 물류 분야 등을 가르친 산업 안전 전문가다. 그는 해당 분야 전문가답게 취임 이후 울산항만공사의 항만 안전 관리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했다. 국내 항만 최초로 안전 수준 측정 도구인 ‘울산항 하역안전지수’를 개발하는 성과를 냈다. 윤리 경영을 강화하고 노사 관계를 개선하는 데도 힘을 쏟았다.
코로나 여파에도 4대 항만 유일 물동량 증가 김재균 울산항만공사 사장과 강덕호 노조위원장 등이 노사 소통 활성화를 위한 ‘노랑사랑 소통 카페’에서 기념촬영하고 있다. / 사진:울산항만공사“물동량 유치를 위해 선주사는 물론 화주사까지 뛰어다니면서 맞춤형 포트 세일즈를 실시했다. 임직원들과 고민해 낸 아이디어 중 하나가 울산항 조선소에서 건조돼 선주사에 납품하는 컨테이너선을 1회용 수출선으로도 활용하는 방안이었다. 건조 뒤 선주사에 인도하기 위해 울산항을 떠나는 선박에 수출 물품을 담은 컨테이너를 실어 보내는 방식이다. 출항 전 컨테이너를 싣기 위해 임시 기항하는 선박에 인센티브를 주는 형식으로 운영했는데, 의외로 성과가 좋았다. 지난해 해당 컨테이너 물량만 2만2000TEU 정도였으니, 울산항 전체 물동량의 6% 가까이를 차지한 셈이다. 지난해 전국 항만 물동량이 전년 대비 평균 2.0% 감소했다. 반면 울산항은 전년 대비 5.5% 증가한 1억9486만t의 물동량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희귀 금속소재까지…김동관의 스타트업 투자 큰그림항공엔진용 금속소재 생산美피닉스테일링스에 40억투자우주·방산산업과 시너지도심항공교통 사업과도 연관친환경 모빌리티 기술 확보뉴한화 미래 먹거리 속속 발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갈라먹기식 R&D” 대통령 호통 뒤…8년 만에 예산 13.9% 싹둑과학계는 “미래 경쟁력 저하”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나만 없나? 일단 사고 보자”…초전도체 시들한 틈에 뜬 테마주미래 신소재로 주목 받는 맥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사원 '정부, 미래 기후변화 예측 없이 물·식량 사업 추진'[앵커]정부가 미래 기후 변화에 대한 고려 없이 물과 식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사원 '정부, 미래 기후변화 예측 없이 물·식량 사업 추진'[앵커]정부가 미래 기후 변화에 대한 고려 없이 물과 식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앙시평] 후속세대의 미래, 글로벌 확장성에 달려있다오늘의 0~19세가 미래에 40~50대 중장년이 되었을 때, 오늘의 중장년과 같은 사회·경제·정치적인 지위를 가질 수 있을까? 연령대로 보면 당연히 중심 연령인데도, 이상하게 그렇지 못할 것만 같다. 30년 뒤의 미래는? 당연히 오늘의 0~19세가 중장년이 되어 글로벌 사회·경제·정치의 중심이 되어있을 것이다. 인구를 우리나라로만 한정하면 오늘 0~19세인 후속세대의 미래가 보이지 않았는데, 그 눈을 글로벌로 확장하면 그들의 미래가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