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의 고비는 일단 넘어섰지만 지난주 스텔스 오미크론의 검출률이 절반을 넘어서는 등 변수를 고려해 정부는 거리두기 폐지 대신 소폭 완화 방향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선 29일 서울 은평구 서북병원에서 의료진 등이 코로나19 환자를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사적모임 8인·영업시간 밤 11시’인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를 ‘10인·밤12시’로 완화하는 방안을 다음달 1일 발표하려고 검토 중이다. 전문가들은 완만한 감소세로 돌아선 코로나19 유행 규모가 거리두기 완화 조치로 다시 커질 가능성은 적지만, 중증환자와 사망자가 늘어날 상황에 대비해 의료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보고 있다. 29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34만7554명으로 집계됐다. 전날과 견줘 16만341명 늘면서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지만, 지난주 같은 요일인 22일보다는 6357명 적다. 1월 둘째 주 이후 상승 곡선을 그리던 하루 평균 코로나 주간 확진자는 지난주 11주 만에 감소세로 꺾였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은 델타에 비해서 전파력이 2∼3배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거리두기를 비롯한 방역조치의 유행 억제 효과가 상당히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며 “다만, 일시에 모든 거리두기 조치 등을 해제하는 경우 유행이 증폭될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에 단계적, 점진적으로 완화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30일 오후 3시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 분과 대면 회의와 31일 총리가 주재하는 방역전략회의 등을 거쳐 4월1일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문가들도 거리두기 완화가 향후 유행에 미칠 영향은 적다는 데 대체로 동의하지만, 완만한 감소세가 오래 지속될수록 의료체계 부담은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미크론 확산세 꺾였나…이번주 거리두기 완화 결정 주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서영 기자=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정점을 지나 확산세가 한풀 꺾였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환자 발생이 이번주 완연한 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음주부터 거리두기 '10인·밤 12시' 완화 검토당국은 위중증 환자·사망자의 감소세가 포착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거리두기 전면 철폐보다는 소폭 완화 쪽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사회적거리두기 코로나19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유행 감소세 전환…거리두기 조정 이번 주 논의'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지난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대면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